서평
몰입-황농문
가치업
2019. 9. 13. 05:44
생각
1.정확한 목표
2.수면의 중요성
3.명상
4.눈감고 생각하면서 몰입
5.오늘 하루, 나는 얼마나 가치 있는 시간을 보냈는가?
6.운동
‘해야 할 일을 최선을 다해 잘하자
‘행복하게 살자’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라는
최상의 컨디션은 뇌와 신체가 집중된 상태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자신이 빠져들 수 있고 땀을 흘리는 운동에 의하여 뇌와 신체가 집중된 상태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바쁜 일상에서 천천히 생각하기를 실천하기 가장 쉬운 때가 밤에 잠자리에 들 때이다
몰입 2단계는 한 문제를 2시간 동안 생각하는 것이다.
●방법 : 풀리지 않는 문제를 2시간 동안 생각한다.
20분 생각하기를 규칙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시간은 출퇴근 시간
일상 속에서 20분 생각하기 훈련
●목표 : 자신의 능력에 대해 자신감을 갖는다.
●방법 : 풀리지 않는 문제를 20분간 생각한다.하루에 5번, 2주 이상 연습한다.
●의미 : 몰입 준비 단계로 생각하는 습관을 들인다.
시간을 확보하면 몰입도를 올릴 수 있다. 필요 없는 정보의 차단도 중요하다. 출퇴근 시간이나 휴식 시간에 신문을 보거나 동료들과 잡담을 나누는 대신에 업무에 대해서 계속 생각해야 한다.
하나의 일에 집중하라
부는 불편한 삶을 편리하게 해주기는 하지만 행복을 보장해주지는 않는다. 행복을 돈으로 살 수는 없다.
4 생각을 유도하기 위해 계속 질문한다
교사가 일방적으로 수업을 진행하기보다는 대화식, 질문식, 토론식 교육을 주로 한다.
유대인들의 교육이야말로 어릴 적부터 사고하는 습관을 갖게 하고 끊임없이 사고하도록 유도하여 결국에는 몰입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만드는 가장 이상적인 교육이었다.
아이의 사고력은 놀라운 속도로 발전한다. 또한 적절한 칭찬을 던져주면서 난이도를 조절해나가면 아이는 문제를 또 내달라고 조를 정도로 재미를 느낀다.
이와 같이 문제를 읽은 후 덮어두고 생각만으로 풀려고 하면 문제를 푸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하지만 문제의 난이도 자체는 그리 높지 않으므로 스트레스가 크게 작용하지는 않는다. 문제를 푸는 전략이나 구상이 떠오를 때까지 계속 생각한다. 전략이나 구상이 떠오르면 그 다음은 단순한 계산 작업인 경우가 많다.
물론 문제가 제대로 기억나지 않는 부분은 책을 펼쳐 다시 보면 된다.
책을 덮었기 때문에 문제를 다시 볼 수도 없으니 문제의 난이도는 높아질 수밖에 없다.
낮은 문제는 문제를 읽는 것만으로 풀리기도 하고 연필을 들고 몇 차례 시행착오를 하다 보면 풀리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이런 방식으로 공부하면 두뇌 활동을 거의 하지 않게 되므로 학습 효과도 적고 사고력 발달도 기대하기 어렵다.
학생들이 공부하면서 몰입하는 경우는 주로 시험이 닥쳤거나 시험 기간 중이다
이런 교육 방법이 흥미나 동기부여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리 공부하지 않은 단원의 문제를 풀다 보면, 그 단원에 소개되는 학습 내용을처음 만든 사람의 입장에서 그 문제에 접근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문제의 난이도가 급격히 올라간다.
배울 단원의 내용을 공부하지 않은 채 그 단원의 문제를 바로 푸는 것이다
배우기만 하고 모르는 문제를 스스로의 힘으로 풀어본 경험이 없는 학생은 사고력이 발달하기가 어렵다
문제가 풀리지 않더라도 가능하면 해답을 보지 않고 해결하는 습관을 기르게 되었다.
10분 정도 천천히 생각하기가 끝났으면 비교적 난이도가 낮은 내용부터 시작하는데, 천천히 진도를 나가서 내용을 충분히 소화해야 몰입도가 조금씩 증가한다.
2019-04-29 19:02:33
뇌파가 알파파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먼저 온몸에 힘을 빼고 의자에 편하게 앉는다. 그리고 10분 정도 아무것도 하지 말고 눈을 감은 채 자신이 공부하려는 내용을 천천히 생각한다.
2019-04-29 19:01:21
오늘 하루, 나는 얼마나 가치 있는 시간을 보냈는가?
2019-04-26 04:17:34
회사에서 어떤 직무를 수행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매일 규칙적으로 자신의 목표를 명확히 하려는 다짐이나 생각을 하는 행위 자체가 주어진 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킨다.
2019-04-23 21:09:51
넷째, 나의 목표와 계획에 찬성하여 항상 용기를 북돋워주는 사람을 친구로 사귄다.
2019-04-23 21:07:55
둘째, 명확한 계획을 세우고 착실히 실행해나간다.
2019-04-23 21:07:33
첫째, 확고한 목적 의식과 불타는 강렬한 의욕을 갖는다
2019-04-23 21:07:28
이러한 사실을 몰입적인 사고에 적용하면 자신이 목표로 설정한 문제가 중요하다고 생각할수록, 또 그 문제를 반복해서 생각할수록 몰입하기가 쉬워진다.
2019-04-23 21:04:17
몰입은 특별하게 설정한 목표를 추구하는 활동이 극대화된 신체와 뇌의 비상사태이다.
2019-04-23 21:03:32
표 설정이 의미를 만든다
2019-04-23 20:59:52
어떤 시냅스가 형성되느냐에 따라 인생이 결정된다
2019-04-23 20:55:13
성욕과 식욕, 체온 조절과 같은 원시적인 생리 욕구에서 운동과 학습, 기억은 물론 지고한 인간 정신을 관장하는 전두연합령까지 연결되어 인간에게 다양한 쾌감
2019-04-23 20:51:47
모든 쾌감을 관장하는 A10 신경
2019-04-23 20:51:18
뇌에서 분비되는 도파민은 뇌를 각성시켜 집중과 주의를 유도하고 쾌감을 일으키며, 삶의 의욕을 솟아나게 하고 창조성을 발휘하게 하는 신경 전달 물질
2019-04-23 20:48:48
몰입적 사고에 익숙한 사람은 그 일 자체에 대한 지식은 부족할지라도 문제 해결에 한결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다.
2019-04-23 19:06:13
몰입을 시도할 때에 규칙적인 운동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주어진 문제를 되도록이면 천천히 생각하는 것이다.
2019-04-22 19:53:42
의식적인 노력을 계속했다.
2019-04-22 19:44:11
잠을 통해 확인하는 몰입의 실체
2019-04-22 19:27:09
이 부족하면 집중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잠은 충분히 자도록 한다
2019-04-22 19:19:11
생각의 속도를 천천히 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산책을 하면서 생각하는 것도 좋다
2019-04-22 19:17:58
왔다갔다 하면서 생각해도 좋고, 편안한 의자에 앉아 명상하듯이 생각해도 좋다.
2019-04-22 19:17:43
일어서서
2019-04-22 19:17:21
몰입이 힘든 것은 바로 집중된 정도가 눈에 보이지 않아서 진행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2019-04-22 19:15:34
초보자의 경우 눈을 감고 생각하면 집중이 더 잘 된다.
2019-04-22 19:14:28
설정된 문제를 메모지에 써서 눈에 띄는 곳에 붙여놓으면 이런 일을 방지할 수 있다.
2019-04-22 19:14:18
제1일 | 잡념을 털어내고 자세를 만든다
2019-04-22 19:13:10
단백질 위주의 식사
2019-04-21 22:22:03
몰입은 극단적인 두뇌 활동이기 때문에 규칙적인 운동
2019-04-21 22:21:47
몰입 시도 중에는 남들과 점심 식사를 같이 하는 것도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점심
2019-04-21 22:21:06
규칙적이고 땀 흘리는 운동
2019-04-21 22:20:40
혼자만의 공간 선정
2019-04-21 22:20:18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의 확보
2019-04-21 22:18:44
몰입에 들어가기 전에 준비할 것들
2019-04-21 22:15:49
문제를 설정하라
2019-04-21 22:15:42
열심히 일하면 남들보다 2배 이상 잘하기도 힘들지만 열심히 생각하면 남보다 10배, 100배 아니 1000배까지도 잘할 수 있는 것이다. 그
2019-04-21 22:14:24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 후회를 한다면 그것은 실패한 인생이다.
2019-04-21 22:10:50
●제품이 아닌 작품을 만들듯, 연구 활동 하나하나에 최선을 다하라.
2019-04-21 22:04:41
●연구하는 것을 즐겨라.
2019-04-21 22:04:31
●네가 하는 분야에서 세계 최고가 되라.
2019-04-21 22:04:26
●생각 없이 열심히 노력만 하려고 하지 말고 머리를 써라.
2019-04-21 22:04:16
분명한 목표를 정하라
2019-04-21 22:02:26
수면 부족으로 머리를 쓰는 일이 괴로워지면서 공부하는 것이 지옥처럼 힘들고 학습 효율도 떨어진다.
2019-04-21 22:00:40
수면 부족은 공부를 싫어하게 한다
2019-04-21 21:59:30
결과의 피드백이 빨라야 한다고 했다.
2019-04-21 21:52:28
둘째, 일의 난이도가 적절
2019-04-21 21:52:10
칙센트미하이는 몰입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첫째, 목표가 명확
2019-04-21 21:51:43
표를 위하여 자기가 할 수 있는 최대 능력을 발휘하는 비상사태가 발동한다. 자신을 초긴장 상태로 만들어 모든 것을 잊고 오로지 한 가지 일에 집중하기 때문에 잠재된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는 것이다.